1. 네트워크 개요
- 네트워크 정의:
- 컴퓨터나 장치를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와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입니다.
- 구성:
- LAN (Local Area Network): 좁은 범위에서 네트워크 연결 (예: 집, 사무실).
- WAN (Wide Area Network): 더 넓은 지역에서 연결된 네트워크 (예: 인터넷).
- LAN, WAN의 차이점:
- LAN은 짧은 거리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.
- WAN은 긴 거리에서 인터넷을 통해 연결.
2. 네트워크 동작 원리
- 네트워크 통신 과정:
- 데이터 송수신 방식:
- 단방향(Simplex): 한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 (예: 방송).
- 반이중(Half Duplex): 양방향 전송 가능, 하지만 한 번에 한 방향만 (예: 무전기).
- 전이중(Full Duplex): 양방향 데이터 전송 가능 (예: 전화).
- 데이터 송수신 방식:
- 프로토콜:
- TCP/I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/ Internet Protocol):
-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.
- 데이터 전송 중 오류를 방지하며, 확인 응답(ACK) 방식 사용.
- UDP (User Datagram Protocol):
-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 방식. 빠르지만 신뢰성 낮음. (예: 실시간 스트리밍).
- TCP/I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/ Internet Protocol):
3. 프로토콜 계층 모델
- OSI 7계층: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별로 분리하여 동작 정의.
- 1계층: 물리 계층 (케이블, 신호).
- 2계층: 데이터 링크 계층 (MAC 주소, 스위치).
- 3계층: 네트워크 계층 (IP 주소, 라우터).
- 4계층: 전송 계층 (TCP/UDP).
- 5~7계층: 세션, 표현, 응용 계층 (HTTP, FTP 등).
4. 네트워크 구성 요소
- 장비:
- 라우터: 네트워크 간 연결 및 경로 설정.
- 스위치: LAN 내부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 설정.
- 모뎀: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.
- IP 주소:
- 공인 IP: 인터넷에서 고유한 주소.
- 사설 IP: 로컬 네트워크에서만 사용.
5. TCP와 UDP 비교
특징 | TCP | UDP |
연결 설정 여부 | 연결 설정 필요 (3-way handshake) | 연결 설정 불필요 |
데이터 전달 보장 | 보장 (패킷 손실 시 재전송) | 보장하지 않음 |
전송 속도 | 느림 | 빠름 |
예시 | HTTP, FTP | VoIP, 스트리밍 서비스 |
6. 네트워크의 주요 프로토콜
- HTTP/HTTPS:
- 웹 페이지 전송에 사용. HTTPS는 보안 연결 제공.
- FTP:
- 파일 전송 프로토콜.
- DNS:
-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.
추가 설명
TCP/IP 통신 과정
- 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됨.
- 전송 계층(TCP)에서 패킷으로 분할.
- 네트워크 계층(IP)에서 목적지 주소 설정.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실제 전송.
- 수신 측에서 반대로 계층을 거쳐 데이터 조립.
UDP의 주요 사용 사례
- 비디오 스트리밍, VoIP, 온라인 게임 등 빠른 전송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.
'카카오 부트캠프 > 내용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CloudFront와 S3 연동: 403 Forbidden 문제와 해결 과정 (0) | 2024.12.03 |
---|---|
Express 서버와 Nginx를 이용한 Blue-Green 배포 설정 (0) | 2024.12.02 |
커뮤니티 비밀번호 암호화 적용 및 bcrypt 학습 (0) | 2024.11.28 |
모듈 환경에서 전역 스크립트 사용 문제 해결하기: bcrypt.js를 활용한 비밀번호 암호화 (1) | 2024.11.28 |
AWS EC2 중지 후 재시작, DB 연결이 갑자기 안 되는 이유 (0) | 2024.11.26 |